본문 바로가기

끄적/JavaScript 입문

연산자 - 논리연산자

◎ 논리연산자

논리 연산자는, 불리언 타입 true 혹은 false 를 위한 연산자이다.

  • ! : NOT
  • && : AND
  • || : OR

 

NOT

NOT 연산자는 true는 false로, false는 true로 바꿔준다. // 특정 블리언을 반전시켜 준다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let a = true;
 
console.log(a); // true
 
= !true;
 
console.log(a); // false
 
 
 
let b = false;
 
console.log(b); // false
 
= !false;
 
console.log(b); // true
 

 

AND

AND 연산자는 양쪽의 값이 둘 다 true 일때만 결과물이 true 이다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let a = true && true;
 
console.log(a); // true
 
= true && false;
 
console.log(a); // false
 
= false && false;
 
console.log(a); // false
 
= false && true;
 
console.log(a); // false
 

 

▶OR

OR 연산자는 양쪽의 값 중 하나라도 true면 결과물은 true 다.

두값이 모두 false일 때만 false다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let t = true || false;
 
console.log(t); // true
 
= false || true;
 
console.log(t); // true
 
= true || true;
 
console.log(t); // true
 
= false || false;
 
console.log(t); // false
 

 

▶연산순서

사칙연산에 곱셈 나눗셈이 먼저고 그다음이 덧셈 뺄셈인 것 처럼 논리연산자에도 순서가있다.

순서는 NOT -> AND -> OR 이다. 

1
2
3
4
5
6
7
8
9
const value = !(true && false || true && false || !false);
 
// !(true && fasle || true && false || true)
 
// !(false || false || true)
 
// !(true)
 
// false
 
 

 

'끄적 > JavaScript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연산자 - 산술연산자, 대입연산자  (0) 2020.01.19
변수와 상수  (0) 2020.01.19